직장생활 푸념의 규모를 키우자며 시작한 뉴스레터는 어느덧 5년 넘게 이어지고 있습니다. 마음이 맞는 사람들이 모여 뉴스레터를 시작하는 경우는 많지만, 이렇게 오랫동안 지속하는 팀은 좀처럼 보기 어려운데요. 인터뷰에서 뉴스레터 <풀칠>이 꾸준히 이어질 수 있었던 이유와 마음에 대해 물었습니다.
풀칠 인터뷰
<풀칠>
인터뷰이: 아매오, 야망백수, 파주
대학생 때 독립잡지를 만들기 위해 모여, 지금은 뉴스레터를 발행하고 있는 친구들
오랜만에 진행하는 인터뷰라 오랫동안 읽고 있는 뉴스레터를 만나고 싶었어요. <풀칠>이 바로 떠오르더라고요. 각자 소개 부탁드려요.
아매오: 네, 저는 아매오이고 원래는 콘텐츠를 만들거나 커뮤니티를 만드는 일을 했어요. 지금은 장사하는 자영업자가 되기 위한 준비 중입니다. 야망백수: 저는 야망백수지만, 이제 백수도 아니고 야망도 이번 시즌부터 조금씩 잃었습니다. 야백이라고 부르고 본업은 마케터예요. 풀칠 팀에서는 ‘풀칠이 뭐가 되면 좋을까?’를 많이 고민합니다.
파주: 저도 그만큼 고민하긴 하는데…(웃음) 지금은 광고 대행사 에디터고요, 처음 <풀칠>을 시작할 때는 소속사 A&R로 가수 뉴스레터 발행하는 업무를 하고 있었어요.
뉴스레터 <풀칠>을 만드는 아매오, 야망백수, 파주(왼쪽부터)
자연스럽게 <풀칠>을 시작할 때와 지금으로 소개를 해주셨네요. 뉴스레터는 어떻게 시작하게 되었나요?
파주: 오래전이라 자세히는 기억이 안 나요. 그때는 다들 주니어였는데요, 각자 다른 일을 해도 일로 겪는 어려움은 비슷하더라고요. 당시 회사에서 뉴스레터를 담당하고 있던 터라 이거 그냥 흘러 보내기는 아깝다, 스티비로 한 번 발행해 보자라고 말하며 시작했던 것 같아요. 아매오: 대학생 때 독립잡지를 만들며 알게 된 사이라 공통 관심사가 많았어요. <뉴닉>이랑 <일간 이슬아>가 뜨면서 뉴스레터라는 툴 자체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던 시기라 ‘우리도 요즘 핫한 거에 한 번 올라타 볼까?’하는 마음도 있었어요.
그때와 비교해 요즘 <풀칠>은 어떻게 변했나요?
야망백수: 원래는 '직딩 애환 에세이레터'로 직장 에세이를 써보자는 취지였거든요. 그렇게 1년 반이 지나고 풀칠 71호부터는 매주 키워드를 정해서 다양한 이야기를 담기 시작했어요. 좀 더 잡지처럼, 좀 더 매체처럼 느껴지기를 바랐거든요. 요즘은 예전보다 더 큰 가치를 논하고 싶어요. 그래서 지금 '풀칠'은 '밥벌이 미학 연구회'라는 정체성을 가지고 있는 팀으로 정의하고, 스티비를 통해서 보내는 뉴스레터 <풀칠>은 이메일이라는 매체에 좀 더 적합하도록 편지에 최적화되게 살짝 개편했어요.
새로운 시도와 변화를 거듭하며 계속되고 있는 뉴스레터 <풀칠>
이번에는 어떻게 개편했나요?
야망백수: 예전에는 '풀칠러 여러분' 이렇게 전체를 부르는 표현을 많이 했다면, 요즘은 제가 그런 표현들은 이메일에 들어가서 몰래 고치는데요. 아매오, 파주: …네? 야망백수: 이메일이라는 공간 안에서 개인적인 우정을 나누고 싶어요. 직접 주고받는 편지로 느껴지도록, 새로운 시즌을 실험하고 있는 중이에요.
아매오: 그러고 보니 에세이도 최근에는 좀 더 말을 건네는 듯한 어투로 통일해서 쓰고 있어요. '~했다.'라는 어투가 아니라 '~했습니다.'라고 대화 형식으로 문장을 마무리 해요. 다들 누군가에게 전하는 편지라고 생각하고 쓰고 있는 거죠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