여기 ‘공간 관련 필드 구성원 중 30% 이상이 사용하고 70% 이상이 알고 있는 플랫폼’이라는 원대한 목표로 뉴스레터를 시작한 두 사람이 있습니다. 이제 막 200호를 보낸 공간 트렌드 뉴스레터 <SOSIC>을 보내는 두 사람을 만났습니다.
SOSIC 인터뷰
<소식>
인터뷰이: 정보근, 이하경
직장 동기로 만나 이제는 함께 뉴스레터를 발행하는 두 사람
두 분 소개 부탁드려요.
하경: 이전 직장 건축 회사의 공채 동기로 만났어요. 둘 다 건축 설계로 커리어를 시작했지만, 보근 님은 부동산 개발과 운영에 대한 관점으로 공간 기획을 했고, 저는 건축과 인테리어, 전시의 경계를 오가며 실무에 집중했습니다.
보근: 동기가 총 23명이었는데, 같은 프로젝트를 한 게 아닌데도 하경 님과는 자주 만나서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곤 했어요. 그러다 보니 저희가 일하는 분야에 대한 공통적인 갈증을 느끼고 있다는 걸 알게 됐어요.
뉴스레터 <SOSIC>을 만드는 하경, 보근님 (왼쪽부터)
어떤 갈증이었나요?
보근: 그전까지 건축은 가장 느리게 변하고 호흡이 긴 산업이라고 이해하고 있었는데, 점점 건축, 인테리어, 부동산 콘텐츠, 사회문화적 트렌드 간의 경계가 허물어지는 게 눈에 보였죠. 학교 다닐 때부터 건축이나 인테리어 월간지를 정기 구독했었는데, 이렇게 시류가 빨리 변하는데도 복합적인 관점을 전달하는 공간 매체가 없더라고요. 그때가 2021년이었는데 이런 매체를 기다리기보다는 직접 만들어보는 게 더 좋을 것 같았고, 그게 <SOSIC>의 시작이었어요.
하경: 보근 님은 배경을 잘 파악하고 싶어 했어요. 어떤 현상이 벌어진 이유를 남들에게 충분히 잘 설명하면서도 다음 스텝은 무엇이고 어떤 변화가 뒤따를 것인지 예측하는 걸 즐기더라고요. 저는 기본적으로 눈에 보이고 만져지는 것들에 대해 관심이 많은 데 반해, 보근 님은 눈에 보이는 너머의 흐름을 볼 줄 아는 사람이구나 싶었어요.
보근: 하경 님은 저와 가진 재주가 다르고 그만큼 뛰어난 사람이라는 인상을 받았어요. 인테리어, 가구, 예술을 디깅하면서도 또 남들보다 한 발짝 앞서 있더라고요. 만일 함께 폭넓은 '공간'이란 주제로 작업을 한다면, 제가 큰 흐름을 제시하고 하경 님이 꼼꼼하고 자세하게 채워줄 수 있겠다는 기대가 있었어요.
넓은 관점의 매체가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된 <SOSIC>
이제 막 <SOSIC>의 200호를 보내셨잖아요. 1호를 보내셨을 땐 두 분 다 건축 회사 저연차 사원이라 새로운 자기만의 일을 도모하기에는 너무 바쁘셨을 것 같거든요. 지속성을 위한 동력은 무엇일까요?
보근: 한 사람이 다른 일로 너무 바쁠 때면, 다른 사람이 좀 더 서포트해주기도 해서 갑작스러운 휴재는 단 한 번도 없었어요. 구독자들뿐만 아니라 협업하는 파트너, 클라이언트들께도 신뢰감을 드리고 싶었거든요.
하경: 그리고 발행 전에 뉴스레터의 방향성과 정체성을 확실하게 짚고 출발한 것도 도움이 됐어요. 세상의 뉴스와 공간을 연결하고 우리만의 방식으로 해석해서 트렌드와 인사이트를 전하자는 고유의 브랜딩을 했죠. 타깃 고객, 페르소나를 설정해서 톤 앤 매너를 잡고, 그래픽과 아티클 형식까지 정말 세세하게 설정했거든요.